보고서 활용 안내
본 보고서는 미세먼지(PM2.5, PM10)의 단기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본 안내서는 분석 데이터 소개 페이지와 세부 질환 결과 페이지의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보고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합니다.
분석 데이터 소개 페이지 활용
분석 데이터 소개 페이지는 200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코호트(전국민 대표 코호트 7,461,009명, 30세 이상 코호트 10,005,312명)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시각화한 섹션입니다.
- 인구 피라미드: 연령 및 성별 분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코호트의 인구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분포 지도: 전국 단위의 지역별 대상자 수(N)를 지도 형태로 제공하여 지리적 분포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필터링 기능: 하단 필터 바를 통해 분과(예: 순환기, 호흡기), 질환(예: 심근경색, 천식), 상태(발생/악화)를 선택하여 특정 데이터로 이동합니다.
활용 방법:
- 페이지를 방문하여 두 코호트의 인구 피라미드와 지역별 분포를 검토합니다.
- 필터 바에서 관심 있는 분과 및 질환을 선택하여 세부 질환 결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시각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또는 연령별 미세먼지 노출 위험을 초기 평가합니다.
세부 질환 결과 페이지 활용
세부 질환 결과 페이지는 미세먼지 단기 노출과 특정 질환 간의 연관성을 상세히 분석하는 핵심 섹션입니다. 통계 데이터와 하위 그룹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다음 기능을 포함합니다:
- 필터링 시스템: 분과(예: 순환기, 호흡기), 질환(예: 심근경색, 천식), 상태(발생/악화)를 선택하여 원하는 데이터로 필터링합니다. 노출 기간은 기본적으로 단기로 설정됩니다.
- 통계 분석 탭: 연령, 성별, 흡연 여부, 수익 수준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발생률을 표시합니다.
- 하위 그룹 분석 탭: PM2.5 및 PM10 노출에 따른 위험도를 포레스트 플롯으로 시각화하며, 오즈비(Odds Ratio),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p-value를 제공합니다.
활용 방법:
- 페이지 상단의 필터 바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분과, 질환, 상태를 선택하고 "필터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 "통계분석결과" 탭에서 대상 코호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발생률을 검토합니다. 예: 30세 이상 코호트의 심근경색 발생률 확인.
- "하위그룹분석결과" 탭으로 전환하여 포레스트 플롯을 분석합니다. 오즈비와 p-value(≤ 0.05는 통계적 유의미성)를 통해 미세먼지 노출의 영향을 평가합니다.
문의
보고서 사용 관련 문의 또는 피드백은 아래 연락처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